ⓒ정켈

어쩌다 보니 프리랜서로 지낸 지 1년이 지났다. 직장 생활 8년 차에 퇴사를 한 건 일이 싫어졌거나 조직이 불편해서는 아니었다.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획일적인 ‘생태계’와 오래된 ‘문화’ 때문이었다. 이 괴리가 만드는 불편함을 돌파해보려고 30대 저널 〈삼〉 프로젝트를 기획했다. 개인적이면서도 사회적인 각자의 자리에서 고민을 스스럼없이 공유할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.

마침 그때는 애인과 동거할 생활공간을 구하던 시기였다. 두어 달 동안 ‘집 구하기’를 반복하다 애당초 선택지에 없던 혼인신고를 고려하게 되었다. 서울시가 지원하는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제도 때문이었다. 혼인 제도로 차별받는 친구들에 대한 부채감이 커졌지만 내 ‘지갑 계급’을 인지하는 순간 정치적 소신은 잠시 넣어두기로 했다. 정책 금리로 전세대출을 받기 위해 우리는 혼인 제도에 몸을 끼워 넣었다.

우여곡절 끝에 생활 겸 일 공간으로 활용하기에 꽤 괜찮은 집에 들어갔다. 그러나 나의 새로운 ‘집·일터’는 회사와 내 방이 분리되던 이전 환경과는 달랐다. 집·일터를 운영하는 데는 온갖 잡다한 노동이 필요했다. 정리정돈을 하고 먼지와 때를 제거하고, 빨래하고, 먹을거리와 생활 품목들을 채우는, 보이는 사람에게만 보이는 그런 일들이었다. 하루 몇 시간을 진득하니 책상에 앉아서 일하던 방식은 이제 대단한 노력이 필요해졌다. 식빵을 종류별로 만들 정도로 숙련된 가사 노동 노하우가 쌓였지만, 다시 이력서를 쓴다면 경력에 붙일 수 없는 일이었다.

이 시기에 동거인 역시 일로 분투했다. 그러나 나와 달리 기존 경력의 연장선상에서 새 단계로 넘어갔고 사회적 관계도 불어났다. 생활 동반자로서 고민과 기쁨을 함께 나누는 사이지만, 우린 지난 1년간 분명 서로 다른 ‘경력 과도기’를 겪었다.

나는 최근에야 드디어 ‘나만의 방’을 가지게 되었다. 여러 번 구조를 바꾸며 얻은 자리에서 이 원고를 쓰고, 1년 만에 비로소 〈삼〉 3호도 만든다. 이제야, ‘뭐 하고 사느냐’는 물음들에 ‘백수’라 답하곤 했던 나의 말이 바뀌었다. 정규 직장에 소속되지 않았다고 ‘빈둥거리며 놀고먹는’ 것은 아니기에, 간단히 말할 수 없는 내 일을 풀어 설명한다.

요즘 내 옆의 일하는 여성들을 생각한다. 시어머니를 모시며, 두 아이를 키우고, 출근길엔 도시락을 싸오고, 퇴근길에 장을 봐 돌아가던 이전 직장의 40대 후반 팀장님의 이야기다. 그 위에 30대인 고등학교 동창의 이야기가 포개어진다. 육아휴직을 쓰는 동안 남자 동기들의 승진을 구경해야 했던 그녀는 코로나19 시대 독박 육아를 하며 복직을 기다린다. 그 위로 다시, 친한 20대 회사원 동생의 고민이 쌓인다. 그 동생은, 특정 업계에 여성이 드문 이유를 ‘여성들이 회식 자리를 불편해하기 때문’이라고 말했던 애인과 결혼을 앞두고 있다. 나는 생각한다. 원래 잘하지도 않았던 집안일은 왜 자꾸 내 눈에 보일까. 누군가의 돌봄 노동으로 성장한 건 나만이 아닌데.

제도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여성의 돌봄 노동

얼떨결에 혼인 제도 안으로는 들어갔지만 나는 출산 계획이 없다. ‘돈 줄 테니 애 낳으라’는 이 사회는, 여성이 감당하는 돌봄 노동을 제도적으로 보호하지 않는다. 호주제는 폐지됐지만 아이는 아버지의 성을 부여받고, 그 아이를 양육하는 엄마는 커리어를 키우기 어려운 구조가 변함없이 방치된다. 이런 사회가 과연 새로운 출생에 대해 희망을 말할 수 있을까? 좀처럼 가시화되기 힘든, 세상 ‘당연한 노동’이 여성에게 부과되는 사회에서 우리는 여전히 사랑하고 살고 있다.

기자명 오지은 (프리랜서 콘텐츠 기획자) 다른기사 보기 editor@sisain.co.kr
저작권자 ©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